Frog is cry
내장객체 본문
내장객체(Implicit Objects) : jsp 페이지에 내장되어있는 9개의 객체
1.request 객체 : HTTP request에 해당하는 객체(HTTP헤더, HTTP바디)
2.response 객체 : HTTP response에 해당하는 객체(HTTP헤더, HTTP바디)
3.out 객체 : JSP가 생성한 결과를 브라우저에게 보낼 때 사용하는 출력스트림
4.pageContext 객체 : 현재 JSP 페이지에 대한 컨텍스트 객체
5.session 객체 : 브라우저 1개와 연결된 세션에 대한 객체
6.application 객체 : 서버의 설정 정보 및 자원에 대한 객체
7.config 객체 : JSP -> 서블릿으로 변환될 때 참조해야 할 정보를 담는 객체
8.page 객체 : 현재 JSP 페이지 자체를 의미하는 객체(page=this;)
9.exception 객체 : 예외가 발생하였을 경우 발생된 예외객체를 담는 객체. 예외페이지로 전달됨
1.request 내장객체의 주요 메서드
* String getParameter(String name) -> 요청한 페이지의 파일 경로
* void setAttribute(String name, Object value) -> name-value 속성 추가
2.response 내장객체의 주요 메서드
* void sendRedirect(String url) -> 지정 URL로 페이지 이동
3.out 내장객체의 주요 메서드
* void println() 혹은 write() -> 출력 버퍼에 데이터를 씀
4.pageContect 내장객체의 주요 메서드
* void forward(String url) -> 해당 url로 포워드(페이지 이동)
* void setAttribute(String name, Object value) -> name-value 속성 추가
* Object getAttribute(String name)
* Object getAttribute(String name) -> name에 해당하는 속성 값
* void removeAttribute(String name) -> name 속성을 삭제
5.session 내장객체의 주요 메서드
* Object getAttribute(String name) -> name 속성을 얻어옴
* void setAttribute(String name, Object value) -> name-value 속성 추가
6.application 내장객체의 주요 메서드
* void setAttribute(String name, Object value) -> name-value 속성 추가
* Object getAttribute(String name) -> name에 해당하는 속성 값
* void removeAttribute(String name) -> name 속성을 삭제
파라미터 VS 애트리뷰트
파라미터(인자)
> 브라우저에게 전송 받은 데이터 (<form>, 주소창의 '?' 이후 부분)
> 이름 - 문자열(String)
> 값 - 모든 자료형 가능(Object)
애트리뷰트(속성)
> 서버 내부에서 페이지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데이터
> 이름 - 문자열(String)
> 값 - 모든 자료형 가능(Object)
JSP가 서블릿으로 변환되는 과정(파일 위치)
C:\JAVA\workspace\web_work\.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ork\Catalina\localhost\JSP_Proj\org\apache\jsp\basic
메모장으로 확인하거나, 이클립스에 드래그해서 보는것이 가능함.(뷰어용임)
'JSP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다이렉트와 포워드 (0) | 2020.10.26 |
---|---|
JSP 배포 (0) | 2020.10.23 |
JSP(DAY1) (0)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