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g is cry
Day6 본문
배열(저장공간의 나열)
1. 변수를 여러 개 선언하면 이름도 여러 개 생긴다.
이름이 많아지면 관리하기 힘들고 매번 선언해야 한다.
이런 비효율적인 작업을 배열로 해결한다.
배열은 여러 칸을 딱 한 번만 선언하기 때문에 이름도 하나이기 때문이다.
2. 규칙성이 없는 값에 규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배열의 선언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칸수];
자료형[] 배열명 = {값1,....};
new
뒤에 있는 것을 Heap 메모리에 할당하는 명령어.
정적배열과 동적배열
- 정적배열 : 크기를 한 번 고정시켜 놓으면 프로그램 실행시 바뀌지 않는다.
- 동적배열 : 프로그램 실행 중에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자바는 동적배열만 존재한다!
배열의 사용
int[] arData = {4,5,1,9};
arData[0] = 50; //저장공간
arData[1] + 9; //값
arData[3] = arData[1] - 9; //저장공간, 값
arData[10] = 200; //오류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하는 이유
배열은 이름이 하나이기 때문에 저장공간도 한 개이다.
하지만 여러 개의 값을 담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저장공간이 필요하고
다른 영역(Heap)에 넣은 값만큼의 저장공간이 할당된다.
그 칸들의 시작 주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배열이다!
배열이 가지고 있는 시작주소로 다른 값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연산을 해주어야 하고, 주소를 읽고 값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C언어 *연산자
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arData + 3)은 4번째에 있는 값이고
첫번째에 있는 값은 *(arData + 0)이기 때문에 대괄호([])로 치환하면
arData[0]이 된다.
★★★★★★★★★★★★★★★★★★★★★★★★★★★★★★★★★★★★★★★★★★★★★★★★★★
구글 스토어, 앱 스토어 > 코리아교육그룹 검색 > 스마트러닝앱 찾기 > 다운로드
로그인 > 핸드폰 번호가 아이디 > 핸드폰 뒤 4자리 번호가 비밀번호
홈 화면 하단에(스크롤) 만족도 조사 버튼 클릭 > JAVA1 만족도 조사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