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 (101)
Frog is cry
메소드 : 이름 뒤에 소괄호. 단, 키워드()는 메소드가 아니다!! ★메소드는 저장공간이다. 선언시 작성했던 실행할 문장들은 Text영역에 할당되고 주소값이 생긴다. 이 주소값을 메소드가 가지고 있고 사용할 때마다 해당 주소로 가서 실행할 문장들을 읽고 해석한다. f(x)=2x+1 메소드이름매개변수리턴값 메소드 선언 (1)리턴타입 (2)메소드명(자료형 (3)매개변수명,.....){ (4)실행할 문장; (5)return 리턴값; } (1) 리턴 값의 타입을 작성한다. 만약 리턴값이 없다면 비워놓지 않고 void를 적는다. (2) 동사로 작성한다(연필(매개변수)을 쓴다(메소드)). (3) 생략 가능하다. 매개변수가 없으면 외부에서 값을 전달받을 수 없다. (4) 생략 가능하다. (5) 생략 가능하다. 메소드..
2차원 배열 배열 안에 배열 2차원 배열의 선언 자료형[][] 배열명 = { {값1, 값2, 값3}, {값4, 값5, 값6} };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행][열]; 예)int[][] arrData = new int[2][3]; □: arrDataarrData.length ↓ □□: arrData[?]행의 길이arrData[?].length ↓ □□□ □□□: arrData[?][?] 열의 길이 2차원 배열은 행 배열의 시작 주소를 가지고 있고 행에는 각 행에 맞는 열의 주소가 들어있다. 따라서 한 번 접근하면 값이 아닌 열의 시작주소값이 있고 두 번 접근해야 값이 나온다. 따라서 2차원 배열은 대괄호가 2개이다. 첫번째 접근하는 곳은 행이고, 그 다음 접근하는 곳이 열이기 때문에 [행]..
배열(저장공간의 나열) 1. 변수를 여러 개 선언하면 이름도 여러 개 생긴다. 이름이 많아지면 관리하기 힘들고 매번 선언해야 한다. 이런 비효율적인 작업을 배열로 해결한다. 배열은 여러 칸을 딱 한 번만 선언하기 때문에 이름도 하나이기 때문이다. 2. 규칙성이 없는 값에 규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배열의 선언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칸수]; 자료형[] 배열명 = {값1,....}; new 뒤에 있는 것을 Heap 메모리에 할당하는 명령어. 정적배열과 동적배열 - 정적배열 : 크기를 한 번 고정시켜 놓으면 프로그램 실행시 바뀌지 않는다. - 동적배열 : 프로그램 실행 중에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자바는 동적배열만 존재한다! 배열의 사용 int[] arData = {4,5,1,9}; arDat..
기타 연산자(컴파일러가 아래의 연산자를 만나면 그 밑의 문장을 실행하지 않는다.) break;: 해당 중괄호 영역 탈출 if문 안에서 break를 사용하면 if문을 탈출하지 않고 감싸고 있는 영역을 탈출한다. continue;: 다음 반복으로 스킵. 반드시 continue 밑에 소스코드가 있어야 한다. ----------------------------------------------------------------------- while while(조건식){ 반복할 문장 } for문은 몇 번 반복할지 알 때 사용하고, while문은 몇 번 반복할지 모를 때 사용한다. 무한반복 후 특정조건에서 break를 사용해서 탈출 do~while do{ 반복할 문장; }while(조건식); -------------..
비트 연산 논리 연산자 &(AND) 논리곱 : 두 비트 모두 1이면 1 |(OR) 논리합 :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 ^(XOR) 배타 논리합 : 두 비트가 서로 다르면 1 단항 연산자 ~(NOT) 논리부정 : 0은 1로 1은 0으로 변경 부호 비트 :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a = -a - 1 2의 보수 문제)1 1110 1010 1. 우에서 좌로 읽는다. 2. 처음으로 나오는 1을 찾는다. 3. 그 다음 비트부터 비트를 반대로 변경한다. 예)0 0001 0110 4. 10진수로 변경한다. 예)22 5. 마이너스(-)를 붙여준다. 정답)-22 쉬프트 연산자(비트 이동) : a >> ba를 b만큼 우로 비트이동 빈 칸은 0으로 (음수는 1로) 채워지고 비트가 넘어가면 자동으로 잘린다..
문자열 형변환 - 값을 문자열로 "" + ?? : 문자열로 자동 형변환 - 문자열을 다른 타입의 값으로 클래스타입은 클래스타입끼리만 형변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수로 형변환할 때에는 int의 클래스타입인 Integer클래스 안에 parseInt()메소드로 문자열을 형변환 해야 한다. Integer.parseInt("1") : 정수 1 문자 형변환 컴퓨터는 문자를 문자로 기억하지 않고 정수로 기억한다. 이 정수를 아스키 코드라 하고, 이 때 알파벳과 문자('1')를 정수로 정리해놓은 표가 아스키 코드표이다. 문자 + 정수 = 정수 입력 메소드 입력 상태 : 커서가 깜빡이고 있는 상태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c.next() 입력받기 전 반드시 어떤 값을 입력할지를..
출력 메소드 print("msg") println("msg") printf("msg") 컴파일 방향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제어문자 반드시 따옴표 안에서 작성 \n : new line(줄바꿈) \t : tab(위 아래 줄 간격 맞춰 띄기) \' : ' 표시 \" : " 표시 \\ : \ 표시 변수(저장공간) x = 0 변수명 대입 값(상수) 저장공간의 이름 연산자 자료형(저장공간의 종류) 자료형 type byte 값 정수형 int 4 4, 3, -1, 231,... 실수형 float 4 4.0F, 0.0F, -84.45F,.... double 8 4.0, 0.0, -84.45,.... 문자형 char 2 'a', '강', '1',.... 문자열 String ??? "a", "한동석", "1",.....
프로그램 : 소스코드로 잘 짜여진 틀 프로그램 OS(하드웨어에 적절한 전기 신호를 흘려준다) 하드웨어 이식성 : 다른 운영체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작동되는 정도 컴파일 : 사람의 언어를 컴퓨터 언어로 바꿔주는 작업 컴파일러 : 번역기(javac.exe) JVM(Java Virtual Machine) JAVA 프로그램을 실행해준다. 자바 가상 운영체제 JRE(Java Runtime Environment) JVM을 실행할 환경을 구현해준다. 실행할 때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을 가지고 있다. JDK(Java Development Kit) JRE외에 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을 가지고 있다. JDK 설치 구글에 jdk8 검색 첫번째 링크 클릭 Windows64 다운로드 클릭 동의한다 체크 후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