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격증 (37)
Frog is cry
1장 논리 회로의 기본 불 대수(Boolean Algebra) > 불 대수는 논리 회로를 분석하고 수학적으로 그 연산은 효현하고자 사용하는 대수식으로 논리 대수라고도 한다. 불 대수의 특징 > 논리 변수 사이의 진리표를 대수 형식으로 표시한다. > 논리 변수를 조작하여 주어진 회로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간단한 회로를 결정하고자 사용한다. > 불 대수의 모든 변수를 0과 1의 값만 가질 수 있다. > 논리 회로의 입출력 관계를 대수 형식으로 표시한다. 논리 게이트(Logic Gate) > 논리 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소자, 2진 정보를 취급하는 기본 논리 회로이다. NOT > 입력 값이 0이면 1을 출력하고 1이면 0을 출력 AND >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만 1출력 OR > 입력 값이 모두 0일 ..
1장 뉴미디어(New-Media) 뉴미디어의 정의 > 뉴(New) :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수단인 유무선 통신의 결합이다. > 미디어(Mieda) : 종래의 TV, 전신, 전화, 우편, 신문 등을 말한다. 뉴미디어의 특징 > 양방향 통신 체계이다. > 탈 대중화로 특정 계층의 서비스를 목적이다. > 자동화 시스템이다. > 시간과 장소에 무관하다. > 기존의 미디어와의 결합이다. 뉴미디어의 분류 > 유선형 미디어(통신계 뉴미디어) : CATV, Videotex, Teletex, Teleconference(화상 통신 회의), VRS(화상 응답 시스템) > 무선형 미디어(방송계 뉴미디어) : 위성 통신, Telex, Teletext, 전파 문자 방송, 다채널 정지화 방송, HDTV > 패키지형 미디어 : V..
1장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 서로 다른 시스템(System)에 존재하는 개체(Entity)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적, 하드웨어적 약속이나 규칙 및 규약을 말한다. > 시스템(System) : 컴퓨터, 터미널을 말한다. > 개체(Entity) : 사용자 프로그램, 파일 전송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한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 > 구문(Syntax) :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Signal Level)등의 요소를 말한다. > 의미(Semantics) : 전송 제어 및 오류 처리를 위한 정보 등을 규정한다. > 시간(Timing) : 두 개체 간의 통신 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세지의 전송 및 순서에 대한 특성을 가리킨다. 2장 인터네트워킹 인터네트워킹의 정의 > 근거리 네트워..
1장 회선 공유 기술 다중화기(Multiplexer)의 분류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통신 회선의 주파수를 여러 개의 작은 대역 폭(채널)으로 분할하여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채널 간의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 대역이 필요하고, 이 보호 대역은 채널의 이용률은 낮추게 한다. > 전송 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클 때 사용한다. > 전송 매체를 지나는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 비용이 저렴하며, 주파수 변조만 하므로 기술이 간단하다. > 비동기식 저송이며, 멀티 포인트 방식에 적합하다. > 모뎀의 역할을 겸하므로 별도의 모뎀이 필요하지 않다. > 전송지연 없이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다. > 누화 잡음 및 상호..
1장 데이터 링크 제어 비트 지향 프레임(HDLC 프레임 구조) 플래그(Flag) > 프레임 구조의 앞과 뒤를 구분하는 비트 열로서 '01111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FLAG 비트열의 역할은 통신 회선을 공유하는 모든 다른 프레임들과 구분하는 비트 열로 송신측에서는 송신하기 전에 송신 메세지의 앞과 뒤에 '0111110'을 추가하여 전송한다. 또한 FLAG 비트를 제외한 모든 비트는 연속된 '1'의 비트가 6개 이상이 되지 않도록 '0'을 강제적으로 추가하여 송신한다. 제어부(CONTROL) > 전송할 메세지는 일정한 길이의 작은 데이터 조각(프레임, 패킷)으로 나누어 목적지에 전송된다. 여러 전송로나 교환기를 거쳐 전송되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1장 통신의 개요 정보 통신(information Communication) 정보 통신 = 전기 통신 + 컴퓨터(정보 처리)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통신 처리 기능을 물론이고, 정보 처리 기능에 정보의 변환, 저장 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이다. > 정보 처리가 가능한 기계와 기계 간에 전기적인 통신 회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 전기 통신과 컴퓨터의 정보 처리 능력을 부가시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 컴퓨터나 통신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형태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 정보 처리 장치 등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는 기계 장치 간의 통신이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단말 장치(DTE : Data Terminal Equipment)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
1장 UNIX의 기본 개념 UNIX의 특징 > 대화식 운영체제로 높은 이식성과 확장성이 있다. >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정보와 유틸리트들을 공유하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 대부분의 코드가 C언어로 기술되어 있다. > 소스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이다. > 파일 소유자, 그룹 및 그 외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용자를 구분하여 파일을 보호한다. > 표준이 정해져 있고 제품의 공급업자가 많다. > 라이센스 비용이 저렴하다. > 다양한 네트워킹(Multi-Tasking, Multi-User)기능이 존재한다. > 계층적(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이다. > 커널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서 이식성이 뛰어나다. > 커널(Kernel)은 ..
1장 컴퓨터 시스템과 운영체제 다중 처리기와 운영체제 구성 주/종(Master/Slave) 프로세서 구조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 두 개의 프로세서(처리기, CPU)가 있을 경우 입출력과 연산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주 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주 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주 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 종 프로세서는 연산을 일부 담당하게 한다. 주 프로세스가 중단되면 어쩔 수 없이 시스템이 멈추지만, 종 프로세서가 중단되면 컴퓨터 시스템은 계속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주 프로세서(Master CPU)는 입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 종 프로세서(Slave CPU)는 연산만을 담당한다. > 주 프로세서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