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격증 (37)
Frog is cry
1장 객체지향의 기법 객체지향의 장단점 > 규모가 큰 대형 프로젝트 개발에 적당하다. > 소프트웨어의 재사용률이 높아진다. > 소프트웨어의 확장성이 높아진다. > 객체를 재사용하면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 자연적인 모델링이 가능하다. > 전형적인 사용자 타입 중심이다. > 대화식 프로그램 개발에 용이하다. > 객체를 이용하여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지만 객체를 설계하기가 어렵다. > 객체의 규모가 크기 떄문에 실행속도가 느려진다. 객체지향의 용어 클래스(Class) 클래스 라는 것은 같은 유형의 객체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공통된 특성이나 특징을 정의하고 그 특성이나 특징을 변화시키는 함수를 정의하는 개념이다. > 객체 타입(Objec..
1장 구조적 분석 구조적 분석용 도구 자료 흐름도(DFD : Data Flow Diagram) > 자료 흐름도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원할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그림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구로서, 처리 사항인 원 모양이 여기저기 나타나므로 버블 차트라고도 한다. 자료 흐름도의 특징 > 자료의 흐름을 표시한다. > 도형 중심의 표현이다. > 개략적인 것에서부터 상세한 것으로 분석을 쉽게 해준다. > 항향식 전개이다. > 구조적 분석용 도구이다. > 사용자와 개발자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 처리(Process) 기호, : ○ > 입력되는 자료를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원으로 표시하고 그 안에 처리 명칭을 기술한다. 자료 흐름(..
1장 소프트웨어 공학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Life Cycle)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라고도 하며 소프트웨어의 계획, 계발 결정, 개발 과정, 유지보수, 폐기처분을 망라하는 소프트웨어의 일생을 의미하는 말이다. 폭포수형 모델의 특징 > 가장 오래되고 널리 사용되어져 온 전통적인 수명주기 모델이다. > 한 단계가 완전히 끝난 다음에 다음 단계로 진행하므로 개발 단계가 명확하여 이해나 적용이 용이하다. > 각 단계별로 산출물이 명확하다. > 임의의 단계에서 문제 발생 시 전 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새로운 요구사항 발생 시 적용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사용자에게 소프트웨어의 모형을 보여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폭포수(Waterfall)형 모델의 개..
1장 시스템 평가 시스템의 평가 목적 > 시스템 운영 관리의 타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처리 비용이나 처리 효율면에서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다. > 차후 시스템 개발 시 같은 실패를 피할 수 있으며, 원활한 진행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 시스템의 수행 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시스템 성능 평가 항목 > CPU의 속도 및 기억 용량 > 입출력 장치의 처리 속도 > 프로그램의 구조와 사용 언어 > 파일의 편성 방법과 액세스 방식 > 파일 장치의 속도 > 프로그램의 다중도 및 우선순위 시스템의 신뢰성 평가 요소 > 시스템의 전체 가동률 > 신뢰성 유지를 위한 경제적 처리 방안 > 시스템 구성 요소의 신뢰도 신뢰성 평가 요소 평균 사용 시간(MTBF : Mean Time Betwwen Failu..
1장 프로세스 설계 순서 프로세스 설계란 코드와 입출력, 파일의 설계가 끝나면 처리 절차를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하기 위하여 입력 정보나 파일 정보를 가지고 출력 결과를 얻기까지의 처리 과정을 도식화하여 프로세스 흐름도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 사항 확인 > 처리 방식 설계 > 작업 설계 > 논리적 흐름 설계 프로세스 설계 시 유의 사항 > 조작이 될 수 있는 한 간결히 되도록 배려하고 오퍼레이터의 개입을 적게 한다. > 정확성을 고려하여 처리 과정을 명확히 명시한다. > 오류에 대비한 체크 시스템을 고려한다. > 시스템의 상태나 구성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표시한다. > 새로운 프로세스에 대한 설계뿐 아니라 구 프로세스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도 분석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정보의 흐름이나 처리 과..
1장 파일 설계 순서 코드 설계와 입출력 설계가 끝나게 되며 정보의 저장을 위해서 파일을 설계하게 된다. 파일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파일 목적의 확인 > 파일 항목의 검토 > 파일 특성의 조사 > 파일 매체의 검토 > 편성 방법의 결정 파일 특성에 관한 검토 여기서는 파일의 처리 형태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파일의 무결성과 안전성은 어떻게 유지시킬 것인지 설계하게 된다. > 처리 주기 및 처리 방식을 검토한다 > 추가 삭제 비율은 어느 정도 되며 어느 것에 가중치를 두고 진행되는지를 확인한다. > 파일에 대한 트랜잭션 발생 빈도는 어느 정도인지 검토한다. > 처리 시간에 대한 요구는 어느 정도인지 검토한다. > 파일의 활동률을 확인한다. 매체에 따른 기능 검토 > 매체의 접근 방식을..
1장 입출력 설계의 기본 기입하게 쉽게 설계 > 기입을 적게 할 수 있도록 한다. > 일정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기입될 수 있도록 한다. > 기입 상 혼란의 우려가 있는 경우는 기입 요령을 부착하여 준다. > 동일 항목을 반복해서 기입할 때는 복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고정 항목은 인쇄해 둔다. > 선택식 기입 방법을 사용한다. > 관련성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집중해서 배치한다. 2장 입력 설계 입력 정보의 설계 순서 입력 정보 발생> 입력 정보 수집 > 입력 정보 매체화 > 입력 정보 투입 > 입력 정보 내용 데이터 입력 방식 집중 매체화 시스템 > 발생한 데이터를 전표상에 기록하고 일정한 시간 단위로 일괍 수집하여 입력 매체에 수록하는 입력 방식이다. 분산 매체화 시스템 > 입력 정보의 매체화..
1장 코드의 기본 코드의 정의 > 코드란 정보 처리 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처리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중대한 가치를 부여하여 설계하게 된다. 따라서 코드는 컴퓨터 처리에 융통성과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하며 업무 처리에 있어 효율성과 용이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코드의 기능 코드의 3대 기능 식별 기능 > 다른 것과 구별될 수 있는 기능 분류 기능 > 정보들을 동일 특성을 가진 데이터로 그룹화하여 나누는 기능 배열 기능 > 일련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느 ㄴ기능 그 밖의 기능 간소화 기능 > 정보의 표현을 간소화해서 나타낼 수 있는 기능 표준화 기능 > 정보의 종류, 모양, 크기 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통일적으로 표현하는 기능 연상 기능 > 정보를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뜻과 의미를 코..